클래식 음악 관련 상식들...

한국 바이올린 교육계의 대모, 김남윤

수입타조 2022. 11. 27. 15:04

'

 

한국 바이올린 교육계의 대모, 김남윤 인터뷰 l KBS

'

'https://youtu.be/4-pD5qV1fn0

 

'학구적이면서도 뛰어난 곡 해석과 다이내믹한 연주로 한국 음악계를 대표하는 바이올리니스트 김남윤!

이화여중 시절 동아음악 콩쿠르에서 1위로 입상하면서 한국 바이올린의 기대주로 착실하게 성장해나가던 그녀는 1967년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어드 음대에서 이반 갈라미언을 사사한다.

그 후 1974년 스위스 티보바가 국제콩쿠르에서 우승하면서 비로소 국제무대에서도 명성을 떨친 그녀는 이 대회를 통해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서 자리매김하게 된다. 연주가로서 뿐 아니라 국제 콩쿠르에서 심사위원으로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그녀는 2001년 벨기에에서 열린 세계 최고 권위의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의 심사위원으로 참가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 후 매년 세계적인 대회 및 뮤직 페스티벌의 초빙교수로 활약하며 한국 바이올리니스트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우리나라 바이올린 교육계의 대모로 재능 있는 제자들을 키워내는 바이올리니스트 김남윤을 만나보자.

'

 

 

 

'

바이올리니스트 김남윤, 한국에 오고 싶지 않았다? 바이올린 대모의 음악 이야기

'

'https://youtu.be/ZI35pnSswZs

'김남윤은 무대에서 좀처럼 긴장하지 않는다. 음악이 곧 생활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음악을 살아 숨 쉬게 하는 매력의 연주자로 클래식 음악계의 전문 연주자 시대를 연 한국 음악계의 대모로 불리고 있다. 아홉 살 처음 바이올린을 쥐었고, 스물일곱 약관의 나이에 교수가 된 김남윤 문화 다큐 특별한 만남 바이올리니스트 김남윤의 인생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

한국 바이올린의 대모 김남윤 바이올리니스트의 고백 "어머니의 잔소리가 그립습니다."

'https://youtu.be/dJM85C3eV1w

'수많은 제자를 양성한 한국 바이올린의 대모 김남윤 교수. 끝없는 노력과 열정으로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국내에 주목받는 바이올리니스트 중 김남윤 교수의 문하를 거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입니다. 한국 바이올린계의 거목 김남윤 바이올리니스트를 통해 음악과 인생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

'

'

바이올리니스트 김남윤, 한국에 오고 싶지 않았다? 바이올린 대모의 음악 이야기

'https://youtu.be/ZI35pnSswZs

'김남윤은 무대에서 좀처럼 긴장하지 않는다. 음악이 곧 생활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음악을 살아 숨 쉬게 하는 매력의 연주자로 클래식 음악계의 전문 연주자 시대를 연 한국 음악계의 대모로 불리고 있다. 아홉 살 처음 바이올린을 쥐었고, 스물일곱 약관의 나이에 교수가 된 김남윤 문화 다큐 특별한 만남 바이올리니스트 김남윤의 인생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

'

'https://youtu.be/eSCciSG4Jz4

KBS 위성스페셜 980918 방송

피아노 : 강충모

00:50 차이코스키 - 3Pieces Op.42 1.Meditation

07:33 차이코스키 - 3Pieces Op.42 2. Scherzo

11:15 차이코스키 - 3Pieces Op.42 3. Melodie

15:36 프로코피예프 - 5Melodies 1. Andante

17:55 프로코피예프 - 5Melodies 2. Lento ma non troppo

20:26 프로코피예프 - 5Melodies 3. Animato ma non Allegro

24:02 프로코피예프 - 5Melodies 4. Andantino un poco scherzando 25:41프로코피예프 - 5Melodies 5. Andante non troppo 29:10 이건용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일장

37:47 R.스트라우스 - 바이올린 소나타 Eb장조 Op.18 1. Allegro ma non troppo

49:06 R.스트라우스 - 바이올린 소나타 Eb장조 Op.18 2. Improvisation: Andante Cantabile

56:58 R.스트라우스 - 바이올린 소나타 Eb장조 Op.18 3. Finale:Andante - Allegro

1:05:37 앙코르 - 드보르작 유모레스크

 

'

 

'김남윤-이경숙 듀오 콘서트

피아노 : 이경숙

KBS 문화스페셜 050107 방송

 

01:08:50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G장조 Op.78 1. Vivace ma non troppo

01:19:43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G장조 Op.78 2. Adagio

01:27:11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G장조 Op.78 3. Allegro molto moderato

01:35:30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A장조 Op.100 1. Allegro amabile

01:43:14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A장조 Op.100 2. Andante tranquilo vivace

01:49:24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A장조 Op.100 3. Allegretto gracioso

01:54:30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d단조 Op.108 1. Allegro

02:02:13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d단조 Op.108 2. Adagio

02:06:30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d단조 Op.108 3. Un poco e con sentimento

02:09:26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d단조 Op.108 4. Presto agitato

 

찾아가는 음악회 -

창경궁 명정전

KBS 클래식 오디세이 101019 방송

02:15:01 멘델스존 - 바이올린 협주곡 Op.64 3악장 알레그로 몰토 비바체

'

'

'KBS중계석 2018 교향악축제 180523 방송

피아노 : 이경숙, 첼로 : 김두민

02:23:16 베토벤 -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 협주곡 C장조 작품 56 1. Allegro

02:41:14 베토벤 -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 협주곡 C장조 작품 56 2. Largo

02:45:56 베토벤 -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 협주곡 C장조 작품 56 3. Rondo alla polacca

'

'

'

'

'

'

 

'

김남윤은 우리 음악계의 둘도 없는 보석같은 존재이자 명실상부한 우리 음악계의 큰어머니다. 전성기 시절 김남윤은 학구적이고 내실 있는 곡 해석과 뛰어난 기량의 다이내믹한 연주로 국내 음악계의 정상이었고, 대학에 적을 두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최고의 스승이었다. 

 

6세 때 바이올린을 시작한 김남윤은 이화여중과 서울예고를 거쳐 줄리어드 음악학교를 졸업했다. 국내에서는 이화▪경향 음악 콩쿠르 특상, 동아 음악콩쿠르 우승, 미국 유학 시절, 줄리어드의 차이콥스키 콩쿠르, 워싱턴의 메리웨더 포스트 콩쿠르, 허드슨 밸리 영 아티스트 콩쿠르, 로스앤젤레스 영 뮤지션스 파운데이션 콩쿠르 등에 입상했다. 특히 세계적인 권위의 스위스 티보바가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면서 국제무대에 데뷔했다.

 

독주자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 지휘자들과 공연했는데, 리카르도 샤이가 지휘하는 로열 필하모닉, 알렉산더 드미트리예프가 지휘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 헝가리 브르노 국립교향악단, 자그레브 방송교향악단, 싱가포르 교향악단, 상하이 교향악단, KBS교향악단, 서울시향 등 국내외 정상급 교향악단과 협연했다. 

 

카네기홀, 링컨센터의 앨리스 툴리 홀, 위싱턴 케네디센터,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일본 야마하 홀 등에서 독주회를 갖고 비평가들로부터 격찬을 받은 바 있다. 툴루즈 체임버, 자그레브 체임버 등 해외의 유명 실내악단과 수차례 협연했고, 매년 정기적인 독주회와 오케스트라 협연 및 실내악 연주 등에 참여하며 역동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베토벤 : 

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라장조 Op.12/1 중

제3악장 Rondo. Allegro

김남윤 Nam Yoon Kim

이경숙 Kyung-Sook Lee

 

광복 30주년 기념음악회, 수차례의 대한민국 음악제, 세종문화회관 개관기념음악제, LG아트센터 개관 기념 음악제, 광복 50주년 기념 음악회,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및 실내악 축제 등에서 연주했다. 1998년,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연주회(총 5회)를 했고, 1999년엔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연주회(총 3회), 2000년 로맨틱 소나타 연주회(총 4회)를 열었다. 또한 청소년을 위한 음악회와 다양한 자선음악회 등을 가졌다. 

 

고전음악의 대중화와 저변확대를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았다. 또한 제자들과 함께 코리안 솔로이스츠를 조직해서 연주했고, 서울 체임버 오케스트라 악장을 지내며 한국 실내악 활성화에도 많은 힘을 보탰다.

 

자그레브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을 CD로 출반했고, 1996년에는 첼리스트 레슬리 파나스와 듀오 CD를 발표했다.

 

김지연, 백주영, 양고운, 이경선, 김현아, 민유경, 클라라 주미 강 등 세계 속에 한국을 빛내고 있는 한국의 자랑스러운 바이올리니스트들이 모두 김남윤의 제자들이다. 김남윤은 서울대학교 교수를 거쳐 1993년부터는 한국종합예술학교 음악원의 교수로 재직하며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장을 지냈다.

 

맨하탄 음대와 예일 음대, 북경 음악원, 홍콩 스트링 페스티벌 초청으로 연주와 마스터클래스를 가졌으며, 1993년부터 1995년까지 미국 보드윈 여름음악제에서, 1996년부터는 샌프란시스코 콘서바토리 여름음악제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매년 여름 일본 이사카와 뮤직페스티벌에서, 이스라엘 Keshet Eilon 바이올린 마스터 클래스(2001. 7)에서 초빙교수로 위촉되어 활동했다.

 

김남윤은 연주자, 교육자로서뿐 아니라 세계의 여러 국제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활동했다. 2001년과 2014년 퀸 엘리자베스 국제 콩쿠르, 독일 이프라니만 국제 콩쿠르(2001), 독일 하노버 국제콩쿠르(2000, 1997), 쾰른 국제 콩쿠르(1999), 스위스 티보바가 콩쿠르(1997), 동아 국제콩쿠르(1997), 대만 국제콩쿠르, 싱가폴 롤렉스 국제 콩쿠르, 도쿄 국제 콩쿠르 등 세계 유수의 국제콩쿠르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연주자와 교육자로서의 업적을 각계각층으로 인정받아 많은 표창과 존경을 받았다. 1995년에 옥관문화훈장을 받았고, 1993년엔 연주부문 예음상을 수상했다. 1989년 한국음악평론가상, 1987년 채동선 음악상, 음악동아 올해의 음악가상, 1985년 월간음악상, 1985, 1980년 난파음악상, 한국음악 팬클럽상(1977) 등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원이경, 故 최영우, 백운창, 김용윤, 양해엽 선생을, 줄리어드에서는 이반 갈라미언(Ivan Galamian) 교수를 사사했다.

 

“연습을 하루 거르면 자신이 알고, 이틀 빠지면 비평가가 알며, 사흘 안하면 청중이 안다.” 김남윤 교수가 연구실에 붙여놓고 거듭 가슴깊이 새겼다는 글귀다. 뿐만 아니다. 김남윤은 “예술가에겐 정년이 없다”는 걸 실천하고 있다.

Sarasate - Zigeunerweisen op.20

 

◈ 수상

1976~1983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1983~1992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1993~2015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

1995 옥관문화훈장 수상

2014~현재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원장

2014 자랑스런 한국인대상 수상

2015 홍조근정훈장 수상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