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나무 갈색잎마름병 증상과 원인, 그리고 방제
'
'동백나무 갈색잎마름병 증상과 원인, 그리고 방제
'
'
'
영명
Pestalotiopsis leaf blight
병원체
Pestalotiopsis guepini (Desm.) Steyaert (= Pestalotia guepini Desm.)
기주
동백나무
분포
한국
피해
잎의 병반부가 잘 부스러져서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잎 모양이 크게 망가지며 나무의 미관이 손상된다.
이 병은 강한 비바람에 의해 나무에 상처가 많이 나고 날씨가 과습 할 때 많이 발생한다.

진단특성
잎과 어린 열매에 발생한다.
잎의 경우, 병반은 주로 잎의 선단이나 가장자리 또는 벌레가 먹었던 자리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처음에는 암갈색을 띠다가 차츰 회갈색으로 변하며 나중에는 회백색이 된다.
병반의 모양이나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매우 불규칙하며,
처음에는 작지만 점점 커지면서 잎 면적의 1/3 이상을 점할 때도 있다.
병반의 가장자리에는 진한 자갈색의 띠선이 나타나 건전부와 뚜렷한 경계를 이룬다.
병반의 표면에는 약간 돋아 오른 까만 작은 점들이 많이 나타나는데,
날씨가 습하면 여기에서 까만 뿔 또는 실 보푸라기 같은 분생포자 덩어리가 밀려 올라온다.
병반부는 오래되면 잘 부스러져 탈락하기 때문에 마치 벌레가 갉아먹은 것처럼 보인다.
어린 열매에는 처음에 다갈색의 작은 병반이 나타나는데 차츰 커지면서 열매 표면의 거의 대부분을 뒤덮을 때도 있다.
병에 걸린 열매는 다소 물러지고 표피는 상어 가죽처럼 까칠까칠해진다.


생활권 수목 병해도감 p. 93
생태특성
병원균은 병든 잎이나 열매에서 분생포자 또는 균사의 상태로 겨울을 나고,
봄에 분생포자가 주로 잎과 열매에 생긴 상처 부위나 쇠약해진 부분으로 침입해서 1차 감염을 일으킨다.
1차 감염에 의해 생긴 병반의 표피 밑에는 많은 분생포자반이 형성되는데
날씨가 습하면 여기에서 분출된 분생포자가 빗물이나 바람에 의해 주변의 나무로 전파되어 2차 감염을 일으킨다.

방제
병에 걸린 잎과 열매는 발견되는 대로 일찍 따서 태우거나 땅속에 묻는다.
풍해, 동해, 가뭄, 엽소 등에 의해 잎과 열매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에 유의하며, 해충의 가해로 인해 생긴 상처 부위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충 방제에 힘쓴다.
6~9월 중순에 걸쳐 보르도액, (국내·외 문헌)
만코제브 수화제, 베노밀 수화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등을 4~5번 뿌리고 특히 강풍 후에는
반드시 약을 뿌리도록 권장하고 있다.
(원고작성 : 경상대학교 수목진단센터)
''
'동백나무 병충해 관리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동백나무 병충해 관리
안녕하세요 꽃나무친구입니다. 농장에 들어온 아가들을 기념하여 올렸던 지난번 동백나무에 대한 포스팅에 ...
blog.naver.com
'
'[ 나무의사-수목병리학 ] 뿌리, 줄기, 잎에..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나무의사-수목병리학 ] 뿌리, 줄기, 잎에 발생하는 곰팡이병 종류와 특징
나무의사 < 수목병리학 > (1) 뿌리에 발생하는 수목병 ⦁ 뿌리 형성층과 목질부와 같은 조직의 뿌리...
blog.naver.com
'[ 나무의사-수목병리학 ] 불완전균류에 의한..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나무의사-수목병리학 ] 불완전균류에 의한 병 - 총생균강, 유각균강
나무의사 < 수목병리학 > (1) 불완전균류의 분류 ① 총생균(Hyphomycetes) : 분생포자가 다발로 뭉...
blog.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