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작곡가였던 안토니오 비발디는 어려서부터 뛰어난 바이올린 주자로 명성을 날렸다. 그는 작곡에 있어서도 악기의 음색과 기교적인 화려함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악음악을 많이 작곡했는데, 특별히 협주곡의 독창적인 양식과 혁신에 있어서 큰 공헌을 했다. 비발디는 300여곡이 넘는 협주곡을 작곡했는데, 그중에 약 200여 곡은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이며 나머지는 다른 악기를 위한 곡이다. 특히 그는 첼로, 바순, 만돌린, 트럼펫 등 기존 협주곡에서 독주 악기로 잘 사용하지 않았던 악기를 위해 협주곡을 작곡하면서 협주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보였다.
비발디는 1711년 첫 번째 협주곡집인 《조화의 영감》(Op.3)을 출판한 이후, 꾸준히 다양한 편성의 협주곡집을 선보였다. 바이올린 협주곡만 모은 《라 스트라바간차》(Op.4)와 《바이올린 협주곡집 Op.6》, 그리고 《바이올린과 오보에를 위한 열두 개의 협주곡집》(Op.7)을 출판한 후, 1716~1717년 즈음에 한층 원숙해진 작품들을 모은 새로운 협주곡집인 《화성과 창의에의 시도》(Il cimento dell'armonia e dell'invenzione, Op.8)가 완성되었다. 마르스인 백작 벤체슬라우에게 헌정한 이 작품집은 암스테르담의 르 세느 출판사를 통해 발표되었다.
《화성과 창의에의 시도》에는 총 열두 개의 협주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열두 곡 모두 독주 바이올린과 현악기, 바소 콘티누오 편성으로 작곡되었다. 9번과 12번은 독주 바이올린 대신 오보에로 연주되기도 하며 실제로 이탈리아 리코르디 출판사의 비발디 전집에서는 9번이 오보에 협주곡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비발디의 곡에서는 자연과 일상, 그리고 주관적인 정서 등을 음악적으로 묘사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작품의 부제를 통해 보여주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예가 〈사계〉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의 풍경과 특징을 1번부터 4번으로 나누어 협주곡에 담아내었다. “사계 협주곡”으로 불리면서, 비발디의 가장 인기 있는 작품으로 널리 연주되고 있다.
이 밖에 《화성과 창의에의 시도》에는 사계 협주곡 외에도 〈바다의 폭풍우〉, 〈피젠델을 위하여〉, 〈사냥〉 등 부제가 붙은 표제적인 음악들이 여러 곡 포함되어 있다.
'
'
Vivaldi - The Four Seasons ( Karajan )
Antonio Vivaldi (1678-1741)
The Four Seasons
I. Spring - 0:42
II. Summer - 11:55
III. Autumn - 22:57
IV. Winter - 34:30
Herbert von Karajan | Berliner Philharmoniker | Anne-Sophie Mutter
Recorded: 28 October 1987 at the Berlin Phiharmonie.
'
'
〈사계〉 협주곡은 작자 미상으로 전해져 오는 이탈리아의 정형시인 소네트를 기초로 하여 작곡된 것으로, 악보에는 소네트가 함께 실려 있어 어떤 풍경과 정서를 음악으로 옮긴 것인지 알 수 있다. 이렇게 자연과 정서를 묘사했다는 점에서 ‘음에 의한 풍경화’라는 표현으로 불리기도 하는 협주곡 〈사계〉는 19세기 이후에 유행하는 표제음악의 효시가 되었다는 점에서도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1번 E장조 〈봄〉
각 악장별 소네트는 다음과 같다.
1악장
봄이 왔다. 작은 새들은 즐겁게 노래하며 봄에게 인사한다.
산들바람에 실려 나와 냇물은 도란도란 흘러간다.
하늘이 어두워지자, 봄날의 천둥이 울려 퍼지고, 번개가 번쩍인다.
폭풍우가 지나가고 나면 작은 새들이 다시 아름다운 노래를 지저귀기 시작한다.
2악장
여기, 꽃이 한창인 아름다운 초원에는 나무 잎사귀가 속삭이고
산의 양치기는 충실한 개 옆에서 깊은 잠에 빠져든다.
3악장
요정과 양치기들은 눈부시게 빛나는 보금자리에서,
전원의 양치기의 피리 소리에 맞춰 춤을 춘다. 이 눈부신 봄날에.
〈사계〉의 시작을 장식하는 〈봄〉은 새들이 노래하고 얼어붙었던 시냇물이 녹아내리면서 봄기운이 무르익어가는 풍경을 음악으로 그려냈다. ‘1악장 알레그로’에서는 새가 지저귀고, 시냇물이 흐르는 소리 등을 바이올린을 통해 감각적으로 묘사한다. 트릴과 트레몰로, 16분음표의 빠른 연속 진행 등이 약동하는 봄의 분위기를 연출한다. 〈사계〉 중 가장 유명하고 널리 연주되는 악장이기도 하다. 느린 템포의 ‘2악장 라르고’는 c♯단조로 분위기를 바꿔 나른한 봄기운 속 낮잠에 빠져드는 양치기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첼로를 비롯해 낮은 성부 악기는 연주하지 않고 바이올린 성부 위주로 연주되며, 바람에 한들거리는 나뭇잎들의 움직임과 서서히 잠이 드는 양치기의 모습을 담는다. 3악장은 다시 알레그로의 흥겨운 템포로 펼쳐지는데, 8분의12박자에 춤곡 리듬을 연상시킨다. 솔로와 투티가 교대로 등장하는 리토르넬로 형식이며, 첫 번째 투티 부분에서는 옛날 양치기들이 즐겨 연주하던 피리(뮤제트, 17~18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한 백파이프의 일종)의 소리를 모방하기 위해 길게 지속되는 저음을 낸다. 그 위로 흥겹고 경쾌한 선율이 펼쳐진다.
Vivaldi: Four Seasons/Quattro Stagioni - Janine Jansen - Internationaal Kamermuziek Festival
Amsterdam Sinfonietta en violiste Janine Jansen spelen Vivaldi's 'Vier jaargetijden' tijdens het Internationaal Kamermuziek Festival 2014.
La Primavera/Spring/Lente
Spring Movement 1(Allegro) - 0:04
Spring Movement 2 (Largo) - 3:31
Spring Movement 3 (Allegro) - 6:02
L'estate/Summer/Zomer
Summer Movement 1 (Allegro non molto) - 10:22
Summer Movement 2 (Adagio) - 15:41
Summer Movement 3 (Presto) - 17:54
L'autunno/Autumn/Herfst
Autumn Movement 1 (Allegro) - 21:01
Autumn Movement 2 (Adagio molto) - 26:10
Autumn Movement 3 (Allegro) - 28:41
L'inverno/Winter
Winter Movement 1 (Allegro non molto) - 32:05
Winter Movement 2 (Largo) - 35:21
Winter Movement 3 (Allegro) - 37:00
Opname: 29 juni 2014 tijdens het Internationaal Kamermuziek Festival Utrecht in TivoliVredenburg.
'
2번 g단조 〈여름〉
각 악장별 소네트는 다음과 같다.
1악장
찌는 듯한 여름 햇살 속에서 사람과 동물은 활기를 잃고
나무와 풀도 타들어간다.
뻐꾸기가 지저귀고 산비둘기와 방울새가 노래한다.
산들바람이 기분좋게 불어오자 북풍이 산들바람을 덮치고
양치기는 자신의 불운과 갑작스런 폭풍을 한탄하며 눈물을 흘리나.
2악장
천둥 번개에 놀락 파리와 호박벌에 시달려
양치기의 팔다리는 편안하지 않네.
3악장
아, 그의 두려움은 얼마나 옳은 것이었던가!
천둥과 번개와 우박이 잘 여문 곡물의 이삭을 상처 입게 한다.
2번 〈여름〉의 1악장 ‘알레그로 논 몰토-알레그로’는 전체적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찌는 듯한 날씨에 사람, 짐승 모두 지쳐 버린 모습을 묘사하듯 쉼표와 음표를 교대로 사용하면서 나른한 분위기로 시작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비둘기와 방울새 등 새들의 소리가 각각 개성적인 모티브를 통해 묘사되고 세 번째 부분에서는 폭풍우가 몰아치는 장면이 등장하면서 분위기가 급변하는데, 16분음표의 빠른 패시지가 엄청난 바람과 빗소리를 묘사하고, ‘2악장 아다지오-프레스토-아다지오’는 느리고 빠른 템포가 번갈아 등장하면서 천둥 번개의 긴장감과 그 사이에서 지치고 피곤한 양치기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그리고 있다. ‘3악장 프레스토’는 여름의 격렬한 폭풍우가 다시 한 번 몰아친다. 프레스토의 빠른 템포로 현악기 전체가 트레몰로로 빠르고 긴장감 넘치는 선율을 연주한다.
3번 F장조 〈가을〉
각 악장별 소네트는 다음과 같다.
1악장
마을 사람들은 춤과 노래로 수확의 기쁨을 축하한다.
바쿠스의 술에 취해 흥겨워지고 결국은 모두 깊이 잠이 든다.
2악장
모두 춤추고 노래하기를 멈추는 것은 평온한 공기가 가져다 준 온화함 때문이요.
계절이 달콤한 잠을 즐기도록 사람들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3악장
사냥꾼들 새벽에 나팔과 총을 들고 개와 함께 집을 나선다.
짐승들은 달아나고 그들을 쫓는다.
짐승들은 총소리와 개 짖는 소리에 지치고 상처입어 떨며 도망친다.
그리고 도망칠 힘을 잃고 죽고 만다.
3번 〈가을〉의 ‘1악장 알레그로’는 수확의 기쁨을 즐기는 농민들의 모습을 묘사했다. 8분음표가 주를 이루는 도입 부분의 선율이 흥겨운 축제의 분위기를 이끌며, 유명한 주제 선율은 악기 전체의 투티(tutti)를 시작으로 솔로 부분, 그리고 다시 다음 번 투티까지 세 번에 걸쳐 반복되어 나타난다. 중간 부분 이후부터는 술에 취하고 흥이 오른 사람들의 모습을 비발디 특유의 재치와 유머 있는 음형들로 그리고 있다. ‘2악장 아다지오’는 술에 취한 사람들이 하나둘 쓰러져 잠이 드는 모습이 느린 템포로 전개된다. 이 부분은 현악기의 움직임을 최대한 줄인 채 완만하고 단조로운 음형들이 주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4번 f단조 〈겨울〉
각 악장별 소네트는 다음과 같다.
1악장
눈 속에서 끔찍한 바람 속에 꽁꽁 얼어붙어 떨며
휘몰아치는 바람을 향해 사람이 간다.
쉬지 않고 움직이지만 혹독한 추위에 이가 덜덜 떨린다.
2악장
난로 옆에서 조요히 평안한 낮을 보낸다.
밖에서는 비가 만물을 적신다.
3악장
얼음 위를 넘어지지 않으려고 느리게 움직인다.
난폭하게 걷다가 미끄러져 넘어져도 일어나서 얼음이 깨질 정도로 힘차게 달린다.
닫힌 문을 열고 나가, 남풍, 북풍, 모든 겨울바람이 싸우는 것에 귀 기울인다.
이것이 겨울이고 겨울은 역시 즐겁다.
‘1악장 알레그로 논 몰토’는 독주 바이올린의 트릴과 8분음표의 음형이 차가운 눈 속에 벌벌 떠는 사람의 모습을 묘사하고, 16분음표의 급격히 빨라지는 패시지가 휘몰아치는 겨울바람을 표현한다. 바람 때문에 제자리걸음을 하는 사람의 모습은 같은 음을 반복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느리고 평온한 템포의 ‘2악장 라르고’는 현악기의 피치카토 위를 독주 바이올린이 서정적인 선율로 펼쳐나간다. ‘3악장 알레그로-렌토-알레그로’는 다시 빠르고 경쾌한 느낌을 주며 얼음을 지치며 달려가는 모습이 긴장감과 활기차게 펼쳐진다. 특히 남풍이 부는 모습은 〈사계〉 2번 〈여름〉에 사용된 모티브가 변형되어 사용되었다.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
'
사계 (비발디)
《사계》(四季, 이탈리아어: Le quattro stagioni)는 이탈리아의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가 1725년에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작품 번호는 Opus 8, No. 1-4이다. 비발디의 바이올린 1235 협주곡 중에 가장 유명한 곡으로서 또한 가장 사랑받는 바로크 음악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곡은 본래 열두 곡이 포함된 《화성과 창의의 시도》의 일부분으로 출판되었으나, 사계절을 묘사한 첫 네 곡이 자주 연주되면서 현재와 같이 따로 분리되어 사계로 불리게 되었다. 각 곡은 3악장으로 되어 있고, 빠른 악장들 사이에 느린 악장이 하나씩 끼어져 있다. 곡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제목을 붙인다. 사계를 구성하는 네 개의 협주곡은 각 계절을 잘 묘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겨울"은 어둡고 우울한 반면에 "여름"의 1악장은 천둥번개를 떠오르게 한다. 사계에는 작가를 알 수 없는 짧은 시(소네트)가 계절마다 붙어 있으며 그것이 곡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 소네트를 비발디 자신이 썼다는 설도 있다.
소네트의 번역은 아래와 같다.
이 소네트와 더불어, 비발디는 "멍멍 짖는 개"(봄의 2악장 중), "햇살로 인한 나른함"(여름의 1악장 중), "잠에 빠진 술고래"(가을의 2악장 중)와 같이 곡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들을 지시사항으로 제공하였다. 결국 사계는 음시(tone-poem)이자 표제음악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이 곡집은 바로크 시대 작품인 만큼, 최근에는 대개 통주저음(basso continuo)을 살려서 연주하고 있다. 흔히 하프시코드가 통주저음 악기로 사용되고 있지만, 어떤 악보에는 '가을' 을 제외한 나머지 세 곡에 통주저음용 악기로 오르간이 지정되어 있다. 이를 따라 두 사람의 통주저음 건반 주자를 기용해 연주와 녹음을 하는 이들도 있으며, 루이스 카우프만의 최초 녹음과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지휘의 빈 콘첸투스 무지쿠스 녹음도 이러한 경우에 속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악보에 지정된 통주저음용 악기 외에도, 당시 관례로는 클라비코드 등 다른 건반악기들이나 류트, 테오르보 등의 발현악기도 연주자들의 재량과 연주 편성, 장소 등에 따라 임의로 사용할 수 있었다는 것을 반영해 통주저음 악기를 다양하게 도입하거나 연주자를 한번에 2인 이상 쓰는 형태의 연주법도 종종 시도되고 있다. 또 야니너 얀선 같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은 보통 복수의 합주 형태로 연주되는 반주부의 인원을 파트 당 한 명으로 줄여 6~7명의 인원]나 해금 등의 다른 악기들로 편곡해 연주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한국에서도 최근에 서울 시립 국악관현악단이 국악 관현악용 편곡으로 연주와 녹음을 행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곡집을 가장 유명하게 만든 녹음은 이탈리아 실내악단인 이 무지치와 바이올리니스트 펠릭스 아요가 1955년에 네덜란드 음반사인 필립스와 만든 것이다. 심지어 이 녹음을 '4계' 의 세계 최초 녹음으로 기록하는 문헌도 있지만(영어판 위키 참조), 실제 최초 녹음은 1947년 12월 말에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루이스 카우프만이 헨리 스보보다 지휘로 뉴욕 필하모닉의 현악 주자들로 결성한 녹음용 임시 악단인 '콘서트 홀 체임버 오케스트라' 와 미국 음반사인 콘서트 홀에서 취입한 것이다. 그러나 카우프만의 녹음은 비발디의 진본이 아닌, 누군가가 첨삭을 가한 필사본으로 연주되어 현재 통용되는 악보의 연주와 상이한 점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이 무지치와 아요의 녹음이 최초 녹음은 아니지만, 원전 악보에 충실하게 연주해 만든 첫 녹음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
'비발디 ‘사계’ 오케스트라 효과분석 (naver.com)
비발디 ‘사계’ 오케스트라 효과분석
수많은 클래식 명곡 가운데서도 가장 유명한 작품을 꼽는다면 아마도 비발디의 [사계]가 아닐까 싶습니다. 휴대폰 벨소리로부터 대중가요의 전주에 이르기까지 [사계]의 멜로디는 우리 생활 곳
terms.naver.com
'
'
사계 비교 감상하기 (0) | 2023.07.12 |
---|---|
2023 아티스트 시리즈 1. 박종해 in Schumann (1) | 2023.03.17 |
New Year's Concert 2023 (0) | 2023.01.13 |
구음 시나위와 살풀이(Sinawi, Salpuri) (0) | 2022.10.24 |
Piano Quartet No.1 in G minor, K.478모차르트 / 피아노 4중주 1번 (0)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