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과나무 재배및 관리 요령

식물 재배 관련

by 수입타조 2024. 1. 25. 20:38

본문

'

 

 

'

'

홍로사과

 

홍로(대표적인 추석사과)

과명 : 장미과

학명 : Malus Pumila Mill

숙기 : 9월 상~중순

당도 : 14.0~15.0bx.

과중:300~350g

산미가 적고 단맛이 높으며 착색이 잘되며 낙과도 없음

전국 재배가 가능한 대표적인 추석과일

국내육성품종으로 육질이 단단하고 과즙이 풍부하며

풍산성으로 결실에 따른 수세관리가 필요

 

 

사과나무 식생

냉량한 기후를 좋아하며 연평균기온이 7∼12℃이며, 4∼10월의 기온이 15∼19℃, 6∼8월의 월평균기온이 18∼24℃인 온대북부지역이 적합

강우량은 1,000∼1,200㎜가 적당

토질은 토심이 깊고 토양산도가 pH 5.5∼6.5인 사양토가 적당

 

사과나무의묘목(苗木) 양성은 접목에 의하고 있다. 접목에 이용되는 대목에는 일반대목과 왜성대목(矮性臺木)

일반대목의 종류에는 환엽해당(丸葉海棠) · 삼엽해당(三葉海棠) · 야광나무(매주나무) · 실생(實生) 등,

왜성대목에는 M27 · M9 · M26 · M7 · MM106 등

 

묘목은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면 둥글게 구덩이를 파고 퇴비와 흙을 섞어서 구덩이를 메운 다음 심는다. 구덩이는 일반사과나무일 때는 직경 120㎝, 깊이 90㎝ 정도로 크게 파고, 왜성사과나무일 때는 직경 90㎝, 깊이 70㎝ 정도로 판다.

 

사과는 대부분의 품종들이 자가결실률(自家結實率)이 극히 낮으므로 수분품종(受粉品種:꽃가루받이를 한 품종)을 20% 정도 혼식하여야 하는데, 수분수(受粉樹)가 한쪽에 몰려 있으면 효과가 적으므로 주품종 4열에 수분품종 1열씩 배식하여야 한다.

 

우량한 과실을 생산하기 위하여서는 착과후, 적당한 수의 과실만 남기고 나머지를 솎아 주는 적과(摘果)작업을 반드시 행하여야한다. 적과는 일찍 할수록 양분 이용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수정(受精)의 불완전이나 기타의 영향으로 과실이 발육 초기에 낙과하는 일이 많으므로 너무 일찍 하지 못하는 것이다. 적과는 대개 만개일조부터 30일 후에 실시하는 것이 대과의 비율도 높고 다음해의 화아분화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과나무의 생태

사과나무는 비교적 서늘한 곳에서 화아분화가 잘 되고 착색도 좋을 뿐만 아니라 병해충도 덜 발생한다. 식물생태학적으로 사과나무는 낙엽과수림대의 대표적인 수종이다. 그러므로 온대지역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과나무는 겨울의 -25℃에서도 견디지만 개화기에는 -2∼-3℃에서도 저온피해를 받는다. 개화기의 기온이 17℃ 이상되어야 화분매개 곤충의 활동이 활발하며, 사과나무가 자라는 데 가장 알맞은 기온은 20∼28℃이다. 왜성대목에 접목된 사과나무는 3년이면 결실하지만 종자에서 직접 자란 사과나무는 13년 이상 자라야 꽃이 핀다.

 

전 정

주로 겨울에 하지만 여름전정은 수세를 억제하고 꽃눈을 유도하는 데 효과

사과나무 전정은 주로 솎음전정을 한다. 그러나 세력을 주고 연장시키려면 자름전정을 한다.

 

꽃은 5월 상순경에 1개의 꽃눈에서 5∼6개의 꽃이 생겨 중심화가 먼저 피는데, 중심과를 남기고 열매솎기한다. 생력화(省力化)를 위해 열매솎기제가 이용되고 열매가 큰품종은 드물게 결실시켜야다.

 

유기질이거나 지효성 거름은 밑거름으로 늦가을이나 초봄에 주고, 덧거름인 질소질이나 칼륨질은 몇 번에 나누어준다. 거름 주는 양은 나무의 나이, 토양의 비옥도, 재식밀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표준시비량을 기준하여 해마다 가감하여 정한다

 

 

사과나무의 생리장애

사과나무의 중요한 생리장애로 적진병(赤疹病)이 있다. 적진병은 산성토양에서 망간을 지나치게 많이 흡수하거나 칼슘을 적게 흡수할 때 가지의 수피가 울퉁불퉁하여 죽는 병이다. 이를 막으려면 석회를 충분히 사용하여야 한다.

 

과피 밑의 과육조직이 죽어 갈변하는 고두병(苦痘病)도 역시 칼슘이 부족해 생기는 병이다. 6∼7월의 어린 열매가 갈라지거나 축과되는 현상인 축과병(縮果病)은 붕소결핍증이다. 그 밖에 신초고사현상·홍옥반점병·동록·열과·밀병 등이 있다

 

사과나무의 병충해

부란병(腐爛病)은 줄기나 상처난 주위의 수피가 죽어 껍질 내부가 갈색으로 되는 것으로, 병환부를 깎아내고 발코트나 가성소다를 바른다.

잎이 갈색으로 변하여 떨어지는 갈색무늬병에는 지네브제를 뿌려 방지한다. 잎에 오는 병으로는 반점낙엽병이 있다.

뿌리에 오는 날개무늬병에 걸린 나무는 불에 태우거나 토양에 구멍을 뚫고 클로로피크린으로 소독한다

고접병(高接病)은 바이러스 때문에 오는 것으로 내병성 대목에 접목하거나 무보독 접수를 이용한다.

열매를 뒤늦게 썩게 하는 탄저병은 지네브제를 살포하여 방지한다.

병해로는 부패병·붉은별무늬병·흰가루병·꽃썩음병·검은무늬병 등

중요한 충해로 응애류를 들 수 있다. 응애는 크기가 0.3mm 정도

잎의기능을 저해하는데 여러 가지 살비제를 바꾸어가며 뿌려야다.

 

사과진딧물은 잎의즙액을빨아 심하면 사과나무생장에큰피해를준다.

침투성 살충제를 뿌리는 것이 좋다.

열매 속을 먹어 들어가는 심식충류는 사과나무에 오기 전에 먼저 발생하는 복숭아나무류를 멀리하거나 땅속에서 고치로 월동하는 것은 디아지논을 뿌린다.

열매에 성충이 오기 전에 유기인제를 뿌린다.

나뭇가지에 붙어 사는 깍지벌레류는 겨울에 기계유유제를 뿌려방제

 

잎이나 연한 순 또는 열매를 갉아먹는 잎말이나방류는 디프제나 메프제를 뿌려 방제한다.

나뭇가지에 알을 낳고 유충이 굵은 가지 속을 파먹는 천우충은 알낳은 장소를 찾아 알을 제거하거나 벌레똥이 발견될 때는 굴속에 유기인제를 주사기로 주입시켜 잡는다.

그 밖에 사과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매미류·박쥐나방·텐트나방·딱정벌레·등에잎벌 등이 있다

 

 

 

 

각종 유실수 판매

각종 약용수 정원수 조경수 판매

전국 배송가능합니다

대량주문 받습니다

문의전화

010-2710-8614

010-5721-8614

 

꽃나무와정원조경

네이버에“꽃나무와정원조경”

 

대통령실, '천공 관저개입 의혹 보도' 뉴스토마토 출입 등록 취소 (naver.com)
 

대통령실, '천공 관저개입 의혹 보도' 뉴스토마토 출입 등록 취소

대통령실이 민간인(천공)의 대통령 관저 개입 의혹을 보도한 '뉴스토마토'에 출입 등록 취소를 통보했다. 뉴스토마토 측은 대통령실이 1년간 출입기자 변경 신청을 받아주지 않다가 '출석 미비'

n.news.naver.com

 

 

 

'

'

 

'

'

관련글 더보기